땅부자 50만명이 국토 26% 보유
2013.11.06 09:10
땅부자 50만명이 국토 26% 보유
전국민의 30%가 땅 소유... 전체 민유지 비중 53%
[머니투데이 세종=김지산기자][전국민의 30%가 땅 소유... 전체 민유지 비중 53%]
국내 '땅 부자' 50만명이 전체 개인이 소유한 땅 절반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말 현재 토지·임야대장에 등재된 등록사항과 주민등록전산자료를 연계해 토지소유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민의 30.1%에 해당하는 1532만명이 토지를 소유하고 있으며 상위 50만명이 이들의 땅 55.2%를 보유하고 있다고 5일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개인들이 소유한 땅은 모두 4만7504㎢로 국·공유지, 법인 소유지 등을 모두 포함한 전체 토지 10만188㎢의 47.4%에 해당한다. 결국 '큰 손' 50만명이 우리나라 땅 26.2%를 점유한 셈이다.
개인 땅은 주민등록상 신분이 뚜렷한 개인에 한정했다. 이들을 포함한 전체 민유지가 5만2690㎢(52.6%)인 것을 고려하면 큰 손들의 점유율이 확대될 여지가 있다.
국·공유지는 전체 땅의 32.2%인 3만2256㎢, 법인은 6.5%인 6560㎢를 각각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지가 48.9%인 4만903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관리지역(22.8%, 2만2844㎢)과 녹지지역(11.3%, 1만1370㎢) 비중이 높았다.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절반 이상인 1211만가구(59.9%)가 땅을 소유하고 상위 50만가구 소유비율은 57.0%였다. 2006년(58.9%)보다 1.9%포인트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비중이다.
연령대별로 50대(27.8%), 60대(24.4%), 70대(18.7%)의 땅 소유 비중이 높았으며 20세 미만은 135㎢(0.3%)였다.
전국 소유자 평균 57.2%가 물건소재지에 거주하고 있었다. 서울(82.0%)과 부산(77.7%), 대구(75.4%) 순으로 거주비율이 높았으며 강원(49.7%)은 외지인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자세한 내용은 통계누리(stat.molit.go.kr), 온나라 부동산(onnara.go.kr), 통계청 나라통계(narastat.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머니투데이 세종=김지산기자 san@
<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내 '땅 부자' 50만명이 전체 개인이 소유한 땅 절반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말 현재 토지·임야대장에 등재된 등록사항과 주민등록전산자료를 연계해 토지소유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민의 30.1%에 해당하는 1532만명이 토지를 소유하고 있으며 상위 50만명이 이들의 땅 55.2%를 보유하고 있다고 5일 밝혔다.
개인 땅은 주민등록상 신분이 뚜렷한 개인에 한정했다. 이들을 포함한 전체 민유지가 5만2690㎢(52.6%)인 것을 고려하면 큰 손들의 점유율이 확대될 여지가 있다.
국·공유지는 전체 땅의 32.2%인 3만2256㎢, 법인은 6.5%인 6560㎢를 각각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지가 48.9%인 4만903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관리지역(22.8%, 2만2844㎢)과 녹지지역(11.3%, 1만1370㎢) 비중이 높았다.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절반 이상인 1211만가구(59.9%)가 땅을 소유하고 상위 50만가구 소유비율은 57.0%였다. 2006년(58.9%)보다 1.9%포인트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비중이다.
연령대별로 50대(27.8%), 60대(24.4%), 70대(18.7%)의 땅 소유 비중이 높았으며 20세 미만은 135㎢(0.3%)였다.
전국 소유자 평균 57.2%가 물건소재지에 거주하고 있었다. 서울(82.0%)과 부산(77.7%), 대구(75.4%) 순으로 거주비율이 높았으며 강원(49.7%)은 외지인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자세한 내용은 통계누리(stat.molit.go.kr), 온나라 부동산(onnara.go.kr), 통계청 나라통계(narastat.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머니투데이 세종=김지산기자 san@
<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8 | 반려동물이 인간의 주거환경까지 바꾼다 | 사람 | 2019.10.07 | 89 |
37 | 10년을 기다렸어도…'대기자'조차 되지 못한 사람들 | 사람 | 2019.10.04 | 94 |
36 | 30년 신기루, 공공임대주택 | 사람 | 2019.10.04 | 75 |
35 | ‘주거복지 여성일자리 창출 위한 제5차 시민정책포럼’ 10일 개최 | 사람 | 2019.10.02 | 540 |
34 | 서울시, 전국 최초 아동빈곤가구에 주거지원 | 사람 | 2019.10.02 | 90 |
33 | 군산시 "주거 복지, 궁금증 해결해드립니다" | 사람 | 2019.10.01 | 89 |
32 | 지속가능 주거정책은?… 도시전문가들 수원에 모인다 | 사람 | 2019.10.01 | 80 |
31 | 전주시, 저층주거지 재생사업 성공 위한 공유회 개최 | 사람 | 2019.09.30 | 102 |
30 | '반쪽’짜리 대책에 외면받는 서울시 청년주거 정책 | 사람 | 2019.09.24 | 96 |
29 | 찾아주는, 찾아가는 LH행복동행 서비스 | 사람 | 2019.09.24 | 100 |
28 | 전주시,유니버설 디자인 사회주택 설명회 마련 | 사람 | 2019.09.23 | 56 |
27 | 주거복지포럼 토론회 25일 개최 | 사람 | 2019.09.23 | 88 |
26 | 영구임대단지에 벤츠, 마세라티가 웬말…주거복지 불평등 심화 | 사람 | 2019.09.20 | 114 |
25 | 복지부 배병준 실장, 전주형 커뮤니티케어 현장점검 | 사람 | 2019.09.19 | 50 |
24 | 주거 빈곤과 복지에 대한 성찰 | 사람 | 2019.09.18 | 239 |
23 | LH "주거급여제도 이용하세요" | 사람 | 2019.09.18 | 97 |
22 | 셋집서 쫓겨난 장애인 가장 분신자살 | 사람 | 2014.08.04 | 4808 |
21 | 새로운 주거급여, 7월부터 약 4만 가구에 시범사업 실시 | 사람 | 2014.05.07 | 5042 |
20 | 물려줘야 할 주거안정 | 사람 | 2013.11.27 | 10643 |
» | 땅부자 50만명이 국토 26% 보유 | 사람 | 2013.11.06 | 6104 |
Copyright 2010-2011 Cimpl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