셋집서 쫓겨난 장애인 가장 분신자살
2014.08.04 14:28
셋집서 쫓겨난 장애인 가장 분신자살
연합뉴스 | 작성자 배상희 기자
인천 중부경찰서에 따르면 31일 낮 12시 46분께 2급 지체장애인인 A(49)씨가 인천시내 자신이 세들어 살던 아파트 14층 엘리베이터 앞에서 몸에 인화물질을 뿌리고 분신해 그 자리에서 사망했다.
A 씨가 살던 33평형짜리 집이 올해 3월 경매에서 낙찰되면서 새 집주인 B 씨가 이날 오전 강제 집행을 마친 뒤였다.
A 씨는 부인(49), 딸(11), 아들(9)과 지난해 4월부터 이 집에 거주해왔다.
경찰이 확인한 엘리베이터 CCTV 화면 상으론 A 씨가 자신이 타고 있던 휠체어 뒷주머니에서 하얀색 플라스틱 통을 꺼낸 뒤 14층에 도착하자마자 이 통 안에 든 인화물질을 몸에 붓고 라이터로 불을 붙였다. A 씨가 엘리베이터에서 내리고 불이 번지기까지는 불과 4초가량 걸렸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강제 집행이 진행되던 시간 A 씨는 집안에 없었고, 나머지 가족들은 어수선한 분위기를 피해 아파트 1층에 나와 있었다.
A 씨는 강제 집행 사실을 알려주는 부인의 전화를 받고 집으로 돌아왔다. A 씨가 인화물질을 어디서, 언제 구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A 씨가 올라간 뒤 연기가 나고 비명 소리가 들리자 A 씨의 부인과 자녀 2명은 엘리베이터를 타고 14층으로 올라갔다. 가족들은 모두 연기를 마셔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다.
B 씨의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이 도착하면서 불은 분신 약 10분만에 꺼졌다.
경찰의 한 관계자는 "A 씨가 전세보증금 2천500만원 마저도 가압류에 걸렸다는 사실을 오늘 뒤늦게 알고서 충격을 받고 극단적인 행동을 한 것 같다"고 말했다.
A 씨 부부는 마땅한 직업 없이 정부 보조금으로 연명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정확한 사인을 밝히는 한편 강제 퇴거 과정에서 문제점은 없었는지 등을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8 | 반려동물이 인간의 주거환경까지 바꾼다 | 사람 | 2019.10.07 | 89 |
37 | 10년을 기다렸어도…'대기자'조차 되지 못한 사람들 | 사람 | 2019.10.04 | 94 |
36 | 30년 신기루, 공공임대주택 | 사람 | 2019.10.04 | 75 |
35 | ‘주거복지 여성일자리 창출 위한 제5차 시민정책포럼’ 10일 개최 | 사람 | 2019.10.02 | 540 |
34 | 서울시, 전국 최초 아동빈곤가구에 주거지원 | 사람 | 2019.10.02 | 90 |
33 | 군산시 "주거 복지, 궁금증 해결해드립니다" | 사람 | 2019.10.01 | 89 |
32 | 지속가능 주거정책은?… 도시전문가들 수원에 모인다 | 사람 | 2019.10.01 | 80 |
31 | 전주시, 저층주거지 재생사업 성공 위한 공유회 개최 | 사람 | 2019.09.30 | 102 |
30 | '반쪽’짜리 대책에 외면받는 서울시 청년주거 정책 | 사람 | 2019.09.24 | 96 |
29 | 찾아주는, 찾아가는 LH행복동행 서비스 | 사람 | 2019.09.24 | 100 |
28 | 전주시,유니버설 디자인 사회주택 설명회 마련 | 사람 | 2019.09.23 | 56 |
27 | 주거복지포럼 토론회 25일 개최 | 사람 | 2019.09.23 | 88 |
26 | 영구임대단지에 벤츠, 마세라티가 웬말…주거복지 불평등 심화 | 사람 | 2019.09.20 | 114 |
25 | 복지부 배병준 실장, 전주형 커뮤니티케어 현장점검 | 사람 | 2019.09.19 | 50 |
24 | 주거 빈곤과 복지에 대한 성찰 | 사람 | 2019.09.18 | 239 |
23 | LH "주거급여제도 이용하세요" | 사람 | 2019.09.18 | 97 |
» | 셋집서 쫓겨난 장애인 가장 분신자살 | 사람 | 2014.08.04 | 4808 |
21 | 새로운 주거급여, 7월부터 약 4만 가구에 시범사업 실시 | 사람 | 2014.05.07 | 5042 |
20 | 물려줘야 할 주거안정 | 사람 | 2013.11.27 | 10643 |
19 | 땅부자 50만명이 국토 26% 보유 | 사람 | 2013.11.06 | 6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