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복지센터 네트워크 구축현황과 성공 사례
2011.10.20 18:55
I.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 네트워크는 특정 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거나, 특정 사안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면서 해결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해당 사항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자원들 간에 구축된 일종의 협력체계를 말한다. 특히 한정된 재원으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야 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적극 활용하고 있다.
○ 주거복지 분야도 그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비교적 최근에 도입되어 주거지원 프로그램이나 사업들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주거복지서비스에 대한 주민들의 욕구는 광범위하고 구체적이어서 특정 기관이나 단체가 전적으로 담당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따라 주거 관련 단체는 네트워크를 통해 각자가 갖고 있는 제한된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공공부문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협력체계를 구축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이는 대표적인 주거지원서비스 수행기관인 주거복지센터 활동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 지난 3년간 주거복지센터가 수행한 중요한 활동 중의 하나가 바로 지역사회 내 다양한 복지자원들 특히 주거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자원들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작업이었다. 지역사회 내 주거복지 관련 자원의 네트워크 구축은 주거복지센터가 지역에서 각종 주거지원사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자원들을 효과적으로 동원하여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주거복지센터라는 새로운 조직의 존재를 알리고 주거지원 활동을 소개하고 또한 상호교류 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으로 방법 중의 하나이다. 실제로 주거복지 네트워크는 센터의 비전을 설정하는 것과 함께 지역사회 내 주거복지센터의 위상을 정립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때문에 모든 주거복지센터는 설립 초기 네트워크 구축을 센터의 핵심사업 중의 하나로 설정하고 그 어떤 사업보다 많은 노력을 한 게 사실이다.
○ 주거복지센터의 네트워크에는 지역 민간단체나 자원봉사자 등 민간자원뿐만 아니라 중앙정부, 지자체, 동사무소,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여러 공공기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며, 형태 또한 다양하다. 그리고 주거복지센터를 통해 구축된 주거복지 네트워크는 개별 단체 및 기관은 물론이고 네트워크 자체도 지역의 중요한 주거복지 자원으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여기서는 주거복지센터가 구축한 주거복지 네트워크를 살펴보고자 한다. 센터가 구축한 주거복지 네트워크에는 어떤 형태가 있고, 어떻게 구성하였으며, 또한 어떤 역할을 어떤 방식으로 수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주거복지센터의 네트워크 구축 현황을 살펴보고 주요 대표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구축과정 및 운영방식, 그리고 주요활동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주거복지센터의 주거복지 네트워크를 정리․기록하고 앞으로 주거복지센터를 비롯하여 주거지원서비스를 수행할 단체 또는 기관들이 참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연구대상 및 방법
○ 조사대상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주거복지 지원사업에 따라 지정된 주거복지센터이다1). 총 14개 센터 중 9개 센터를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특히 3년 동안 주거복지센터를 운영한 대구 서구, 성북, 전주센터 등 3개 센터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구축과정과 활동 현황을 자세히 알아보고자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 센터별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제반사항은 각 센터가 작성한 사업계획서 및 사업보고서를 참고하였다.
○ 조사방법은 전체 센터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년간 운영한 3개 센터는 실무자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 설문조사에서는 센터별 네트워크 구축현황과 운영방식, 그리고 해당 네트워크에서 센터의 역할 등 비교적 객관적 현황에 대한 사항과 네트워크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및 효과적인 운영방안 등 주관적인 내용을 반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 면담조사는 3개 센터를 대상으로한 센터 주도 네트워크와 참여 네트워크 등 전반적인 네트워크 현황과 센터의 대표적인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구축과정과 활동현황, 그리고 센터와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주거복지센터사업에 따라 2007부터 2009년까지 지정된 주거복지센터는 1개의 중앙센터와 13개의 지역센터(성북, 강북, 성동, 노원, 은평, 양천, 부평, 부천, 전주, 원주, 대구 서구, 대구 남구, 부산) 모두 14개 센터이다. 이중 여기서는 중앙센터를 제외한 13개 지역센터 중 조사에 응답한 강북, 노원, 대구 서구, 성동, 성북, 원주, 양천, 인천, 전주센터 등 9개 센터를 대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