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임대주택을 포함해 쏟아내고 있는 다양한 주거복지 정책에 대해 이용 대상자들이 잘 모르고 있으며, 실제 활용률도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처럼 주거복지 정책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정부는 최근 ‘주거복지 로드맵’을 잇달아 내놓으며 2025년까지 장기임대주택 240만 채를 공급하기로 했다. 또 청년 100만 가구, 신혼부부 120만 가구, 고령자와 일반·저소득층 460만 가구 등 총 700만 가구가 맞춤주택이나 금융 지원, 주거 급여 등과 같은 다양한 주거 지원 프로그램의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가구(2018년 기준·2050만 가구)의 34%에 해당하는 규모다.

문제는 이 같은 정책에 대해 정작 수혜 대상자들은 제대로 알지 못하고, 이용률이 매우 낮다는 점이다. 한국주거복지연구원이 지난해 11월 공개한 보고서 ‘찾아가는 주거복지상담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에 거주하는 주거취약계층 1만2954명 가운데 정부의 주요 주거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 “알고 있다”는 응답자가 대부분의 항목에서 50%를 넘지 못했다. 저렴임대주택(56.5%)을 제외하곤 월 임대료 지원(42.4%), 임대보증금 지원(34.4%), 주택구입자금 융자(29.2%), 주택개량 지원(22.1%) 등의 프로그램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모두 50%를 밑돌았다.


이용률은 더 떨어졌다. 월 임대료 지원(11.2%)만 두 자릿수를 기록했을 뿐 저렴임대주택(5.6%), 임대보증금 지원(2.4%), 주택구입자금 융자(1.4%), 주택개량 지원(1.5%)은 모두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박근석 주거복지연구원장은 “정부 정책 홍보가 청년과 신혼부부 등에만 초점이 맞춰진 결과”라고 해석했다.
 

출처: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616/101541814/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8 최신 주거복지서비스 편리하게 확인하세요 사람 2020.05.14 4
277 대구시사회서비스원, 지역사회와 탈시설 주거문제 해결 사람 2020.05.14 6
276 장성군-수자원공사 ‘취약계층 주거환경 개선’ 협약 사람 2020.05.13 5
275 부산시 장애인 탈시설 주거전환지원단 위탁 운영 추진 사람 2020.05.12 28
274 “청년 보편소득 검토하고, 주거지원도 늘려야” 사람 2020.05.11 5
273 국토부 `일자리와 주거 융합된 임대주택` 공모 사람 2020.05.11 2
272 LH, 어버이날 맞아 100세 어르신에 건강용품 전달 사람 2020.05.08 4
271 SPC그룹, 주거빈곤아동에 2천만원 지원 사람 2020.05.08 1
270 복지부, '통합돌봄' 제도화 본격 논의…실현 과제 산적 사람 2020.05.07 2
269 서울시와 SH공사, 청년주거문제 전문상담센터 마련 사람 2020.05.07 3
268 저소득층 주거안정위한 전세금 대출보증 및 이자 지원 대상 확대 사람 2020.05.06 7
267 열악 주거환경 놓인 아동 위해…LH·아동단체 주거권보장 협약 체결 사람 2020.05.06 2
266 대전시, 시민 맞춤형 주거종합계획 수립한다 사람 2020.04.29 3
265 경기도시공사-초록우산, 어린이 주거복지위해 손 잡았다 사람 2020.04.29 5
264 주택관리공단-고려대 혁신적 주거복지 업무협약 사람 2020.04.28 12
263 인천시, 쪽방·고시원 등 비주택 거주자 주거환경 개선 사람 2020.04.28 3
262 전주시청, 취약계층 돕는 ‘전주시 공간정리·수납 교육’ 진행 사람 2020.04.24 10
261 영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 취약 장애인 위한 주거환경개선사업 실시 사람 2020.04.24 4
260 [인천 주거복지 실태]②단칸방·곰팡이 집에 사는 아이들 사람 2020.04.23 51
259 김현미 "대전역 쪽방촌 주거복지+지역재생 첫 결합 사례" 사람 2020.04.23 5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