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전세금 대출보증 및 이자지원 사업’ 지원 대상 확대



▲ 경기도


[뉴스렙] 경기도가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경기도 저소득층 전세금 대출보증 및 이자지원 사업’의 지원 대상이 확대된다.

이 사업은 저소득·저신용 가구를 대상으로 최대 4,500만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경기도가 대출보증을 하고 대출보증료와 대출이자 2%를 최장 4년간 지원해 주는 사업이다.

신규계약 잔금, 증액보증금, 대환대출 등의 목적으로 신청이 가능하다.

2019년 시범사업형태로 시작됐으며 도는 2022년까지 총 1만 가구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기존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영구임대주택 입주자, 중증장애인, 비주택 거주민, 노부모 부양가정 등 11개의 신청자격 유형에 올해부터 국민임대주택 입주자, 노인 1인 가구, 국가유공자 등 3개 유형을 추가했다.

또, 기존 제1금융권 전세자금대출 이용자만 가능했던 대환대출 신청이 제2금융권 전세자금대출 이용자까지 확대됐다.

다만, 2018년 12월 31일 이전에 시행된 제2금융권 보증금 관련 대출까지만 가능하다.

신용대출이나 대출 용도에 ‘임차’, ‘전세’ 등으로 명기되지 않은 경우는 실제 임대보증금 용도로 사용했다 하더라도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경기도 저소득층 전세금 대출보증 및 이자지원 사업’은 도내 주택이나 오피스텔에 임대차계약 체결 후 보증금의 5% 이상을 계약금으로 지급한 무주택 가구면 지원이 가능하다.

신청일 3개월 이전부터 경기도에 주민등록이 등재된 도민이어야 하며 부채 과다, 신용불량, 연체등록에 해당되거나 회생, 파산 및 면책결정 후 일정 기간이 지나지 않았을 경우 대출이 안되거나, 지원 금액이 줄어들 수 있다.

사업 신청은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상시 접수가 가능하다.

주민센터에 신청서를 접수하면, 경기도가 자격여부를 확인한 후 추천서를 발급한다.

추천서를 받은 신청자는 도내 NH농협은행 영업점에서 대출을 신청하면 된다.

이밖에도 도는 저소득 취약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저소득층 매입임대주택 임대보증금 지원사업’의 대상자와 지원 금액도 확대한다.

‘저소득층 매입임대주택 임대보증금 지원사업’은 매입임대주택 신규 입주자를 대상으로 가구당 표준 임대보증금의 일부를 최장 20년 간 무이자로 지원해 주는 사업이다.

기존에는 제외됐던 LH공사 자체 공급 매입임대주택 입주자, 전환보증금 신청자, 주거취약계층 및 긴급주거지원 대상자도 신청이 가능하다.

지원금액은 표준임대보증금 상승 등을 고려해 기존 200만원에서 최대 250만원까지 확대했다.

보증금 지원을 받길 원하는 사람은 매입임대주택 계약서 작성 시 해당 공사에 ‘저소득층 매입임대주택 임대보증금 지원사업’ 신청서를 작성해 제출하면 된다.

도는 올해 이 사업을 통해 1,000가구 이상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김준태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경기 전세금 대출보증 및 이자지원 사업’과 ‘매입임대주택 임대보증금 지원사업’의 수혜 대상 및 범위 확대를 통해 주거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전·월세 임차가구의 주거안정에 도움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한 반론 및 기사제보 newsrep21@gmail.com]

출처 : 뉴스렙(http://www.newsrep.co.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8 LH, 올해 공공임대 10만가구 공급…주거 서비스도 추진 사람 2020.01.30 2
217 [단독]재탕·후퇴·미흡…주거 공약, 20대 총선보다 부실 사람 2020.02.05 2
216 삽교읍내 복지사각지대 주거환경 개선 봉사 사람 2020.02.21 2
215 '주거권 보장을 위해' 사람 2020.02.21 2
214 옥천군, 주거급여 지원대상 확대 사람 2020.02.24 2
213 장성군 취약계층 ‘주거 급여’ 확대 사람 2020.02.25 2
212 화북동주민센터,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주거취약가구 방역활동 사람 2020.03.03 2
211 기생충은 오스카 주거정책은 어째스카 사람 2020.03.05 2
210 성남시, 반지하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사람 2020.03.06 2
209 열악 주거환경 놓인 아동 위해…LH·아동단체 주거권보장 협약 체결 사람 2020.05.06 2
208 복지부, '통합돌봄' 제도화 본격 논의…실현 과제 산적 사람 2020.05.07 2
207 국토부 `일자리와 주거 융합된 임대주택` 공모 사람 2020.05.11 2
206 국민 주거 수준 전반 향상 사람 2020.06.02 2
205 성남 분당3무한돌봄네트워크팀, 주거 퇴거 위기가구 어려움 해소 사람 2020.04.06 2
204 군산대 운영 보령효나눔복지센터, 주거개선지원사업 성료 사람 2020.04.16 3
203 여당 과반 확보, 부동산 안정기조 지속…'주거복지 확대' 속도 사람 2020.04.16 3
202 30년 신기루, 공공임대주택 사람 2019.10.04 3
201 청년주거복지·도시재생, 두 마리 토끼 잡는다 사람 2019.10.10 3
200 찾아가는 주거급여 설명회 실시 사람 2019.10.11 3
199 전주시설공단, 독거노인 주거환경 개선 사람 2019.10.14 3

사용자 로그인